재능마켓 플랫폼 크몽과 티스토리 구글애드센스 수익에 대해 처음으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게 되었다. 삼쩜삼이나 SSEM과 같은 대행업체를 쓰면 편할 수 있으나 처음이고 금액이 그리 많지 않아 복잡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직접 경험해 보고자 홈택스에서 신고를 해봤다.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아도 쉽게 종소세 신고가 가능했다.
티스토리 구글애드센스 수익 신고 (사업자 없을 때)
나는 따로 사업자를 내지 않고 티스토리 블로그를 해왔기에 구글애드센스 광고 수익에 대해 어떻게 신고해야하는지 다소 막막했다. 열심히 찾아보니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아도 사업소득으로 신고할 수 있는 업종코드가 있었고 그 코드로 신고하면 단순경비율이 적용되어 필요경비를 특별히 넣지 않아도 자동으로 세금이 계산되었다. 별로 어렵지 않았다.
- 구글애드센스 사업자 없을 때 적용하는 업종코드 : 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940306) - 단순경비율 64.1%
네이버 애드포스트와 다른점
구글애드센스 광고 수익은 미국 구글에서 직접 달러로 송금해준다. 그런데 비슷한 네이버 애드포스트나 카카오 애드핏, 쿠팡 파트너스(쿠파스)의 경우에는 국내 업체이기 때문에 알아서 먼저 원천징수해서 세금을 떼고 나머지 금액을 지급해준다. 원천징수를 하니 당연히 네이버에서 국세청에 신고를 했을 것이고 우리가 종소세 신고를 할 때 홈택스에 들어가보면 금액이 떠 있다. 그래서 특별히 어려울 것이 없는데, 구글 애드센스는 미국에서 달러로 받는 것이라 그런 절차가 없다. 우리가 직접 1년동안 받은 금액을 정리해서 신고해야 한다.
구글애드센스는 사업소득인가 기타소득인가?
이 점이 헷갈리는데 기타소득은 일회성으로 발생하는 소득(복권당첨금, 원고료, 상금 등)일 경우 신고하는 경우가 많다. 구글애드센스는 대부분 매월 조금이라도 지속적으로 들어오는 소득이기 때문에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것이 맞다. 앞서 얘기했듯이 940306 코드로 신고하면 된다. (기타자영업 940909로 해도 큰 차이는 없을 듯하다. 성격이 나는 940306이 더 맞다고 판단했다. 단순경비율 적용도 같기 때문이다.) 사업자가 없는 사람도 사업소득으로 신고가 가능하다.
애드센스 수익이 커지면 세무사와 상담하자.
애드센스 수익이 연간 2400만원 이하라면 단순경비율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금액을 넘어서면 단순경비율 적용이 어려워진다. 이렇게 되면 직접 필요경비를 증빙으로 제출하고 경비로 인정받아서 세금을 줄이는 절세 전략이 필요하다. 그러니까 금액이 커지면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해서 대응하는 것을 추천한다.
애드센스 금액은 어떻게 따지나?
나의 경우에는 1년 동안 애드센스로 들어온 달러를 한화로 바로바로 환전했다. 그렇게 환전해서 한국 돈으로 꽂힌 금액들을 다 더해서 그 금액을 신고했다. 어떤 사람들은 구글 애드센스에서 달러 지급내역을 다운받고 그 지급 당시의 환율을 일일이 계산해서 신고한다고 한다. 이 방법도 맞는 것 같다. 그런데 너무 귀찮았고 그렇게 큰 금액이 차이 나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리고 엄밀히 말하면 달러로 받는 즉시 환전을 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내가 환전한 시점의 한화 금액의 합계가 맞다고 판단했다. 중요한 것은 어떠한 방법으로 하던, 신고를 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사소한 문제 때문에 세무조사가 나올 가능성은 적다. 성실히 신고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
애드센스 증빙은 뭘 제출했나?
나의 경우 SC제일은행 통장으로 구글애드센스 달러를 받고 있다. 그 달러를 한국통장으로 환전해서 옮긴 내역을 캡처했다.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전부 반영했다. 그리고 그걸 붙여서 PDF로 만들어서 종소세 신고 후 증빙 파일로 업로드했다.
크몽 수익 종소세 신고 후기
구글애드센스는 검색을 통해 다양한 후기와 정리된 내용을 많이 찾을 수가 있었는데 크몽은 쉽지가 않았다. 크몽이 어려웠던 점은 크몽이 약 20%에 달하는 수수료를 떼고 지급을 해주는데 이 금액을 제하고 신고해야 하는지, 아니면 매출금액 자체를 신고하고 20%는 경비로 처리해야 하는지가 헷갈렸기 때문이다. 또한 크몽에서 네이버 애드포스트나 쿠팡 파트너스처럼 자체적으로 원천징수를 해서 홈택스에 자동으로 뜨는지도 감이 안 왔다. 크몽 FAQ를 뒤져봐도 속 시원한 대답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크몽은 네이버나 쿠팡, 애드핏처럼 자체적으로 원천징수하고 그 금액을 신고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크몽 판매자 본인이 구글애드센스 수익처럼 직접 챙겨야 한다는 뜻이다.
크몽 사업소득 코드
크몽도 구글애드센스 수익처럼 사업자를 내지 않아도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는 것이 맞다. 1회성 금액이 아니기에 기타소득으로 신고를 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 그런데 크몽 사업소득 코드를 뭘로 넣어야 하는지가 또 헷갈렸다. 검색을 해보니 사람들이 사용한 코드는 525101이었다. 크몽이라는 회사가 이 코드를 주 업종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 코드로 사용하라고 추천을 하는 것 같았다. 525101은 전자상거래인데 크몽에서 스마트스토어와 같이 물건을 파는 게 아니고 강의나 재능을 파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나는 이것이 유튜브나 블로거와 같이 창작자의 개념에 더 가깝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구글애드센스와 같은 940306(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으로 신고를 했다. 또한 525101 코드는 940306이나 940909보다 단순경비율 적용이 더 되었다. 그러니까 경비를 더 인정해준다는 얘기인데 그렇다면 세금을 덜 내게 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더 정확하게 940306으로 신고하는 게 맞겠다고 판단했다.
이미 구글애드센스 금액이 있고 940306 같은 코드를 쓰기로 했기 때문에 크몽과 티스토리 구글애드센스 수익을 합산해서 신고했다. 하나의 코드를 둘로 구분하는 기능이 홈택스에는 없었다.
크몽 수수료 20%
처음에 생각으로는 크몽 수수료 20% 안에는 3.3% 원천징수한 세금이 포함되었을 것이라고 막연히 생각했다. 그런데 크몽에 들어가서 찾아보니 20% 안에 원천징수는 없었다. 판매수수료는 서비스이용료+결제수수료+부가세로 구성되어 있었다. 크몽에서 떼어가는 금액 중에 세금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 나는 이 수수료를 제한 금액을 신고하기로 결정했다. 이 판매수수료 20%를 필요경비로 반영할 수도 있겠으나, 어차피 단순경비율 적용을 할 것이라면 이걸 굳이 복잡하게 필요경비로 넣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판매수수료를 제외한, 실제로 크몽으로부터 수령한 돈을 합산해서 종합소득세 신고를 넣게 되었다.
크몽 수익 증빙 방법
크몽에서 받은 수익을 증빙서류 첨부를 해야 했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했다. 고민 끝에 나는 크몽에서 지급받은 월 지급내역을 캡쳐해서 하나의 pdf로 만들어 올렸다. 이 방법 아니면 은행 계좌를 보고 크몽으로부터 입금받은 내역을 다 더해서 신고하고 증빙으로 사용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나는 조금이라도 편한 방법이 크몽 사이트에서 월 금액이 나열된 페이지를 캡처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증빙이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나는 사실대로 종소세 신고를 했고 이런 작은 소득에 대해 세무조사가 나올 리도 없겠지만 나온다고 하더라도 사실대로 신고를 했기 때문이다.
2022년 귀속 종합소득세 홈택스 신고 후기
처음 하는 종소세 신고이다 보니 용어도 어렵고 헷갈리는 부분이 많았다. 그러나 이때 제대로 익혀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 하나하나 검색해 보면서 방법을 찾아나갔다. 꼬박 하루종일 걸린 것 같다. 특히 구글애드센스나 크몽의 경우에는 흔한 신고 케이스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경험한 사람들의 후기와 정리된 블로그를 참고했다. 내년에는 유튜브 수익, 네이버엑스퍼트 수익 등 다른 소득도 발생할 예정이라 이번에 경험한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소득 파이프라인이 다양한 N잡러라면 나중에 금액이 커지기 전에 직접 종소세 신고를 해보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야 용어도 이해되고 나중에 금액이 커져서 세무사에 맡길 때에도 정확하게 의뢰하고 궁금한 점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제가 경험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이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단순히 저의 경험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개인 상황에 따라 다 다르므로 세무사 등 전문가의 확인을 받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크몽 네이버엑스퍼트 비교 (수수료, 상품승인, 판매방법, 유입)
재능마켓 크몽과 네이버엑스퍼트에서 전문가 상담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같은 내용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이 더 편하고 장단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비교해보자. 이들 외에
jadu22.tistory.com
다음 저품질 경험담과 탈출 포기
티스토리 블로그를 몇 달째 이어오면서 다음 최적화와 저품질을 모두 경험해보았다. 저품질을 여러 번 경험한 후기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다음 저품질 경험담 어렵게 애드센스 승인을 획득하고
jadu2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