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역세권 청년주택 조건 신혼부부 대학생

by jadu22 2023. 4. 11.

 

서울시와 SH공사에서 모집하는 역세권 청년주택 신청과 해당 단지에 대해 알아보자. 젊은 청년들, 대학생, 신혼부부와 같은 사람들이 저렴한 금액으로 지하철 역 근처에 괜찮은 컨디션의 집에 살 수 있도록 공공임대 주택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역세권 청년주택의 신청기간과 자격요건 및 가점, 주요 단지와 세대수에 대해 알아보자.


 

역세권 청년주택 서울 공공임대

 

역세권 청년주택이란?

역세권 청년주택은 무주택 청년과 신혼부부 주거 안정을 위하여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역세권에 공급하는 임대주택이다. 이번에 공급하는 역세권 청년주택은 공공임대주택으로서 민간이 건설하고 서울시와 SH가 매입하여 청년 및 신혼부부계층의 주거안정을 목적으로 공급하게 되었다. 이 주택들은 분양전환 되지 않고 계속 임대로 운영될 예정이다.

 

 

주요 모집 단지 지역 및 세대수 (총 12개단지 622세대)

  • 강동구 성내동 87-1 : 264호
  • 은평구 대조동 241 : 252호 (호반베르디움 스테이원)
  • 종로구 숭인동 240-1 : 16호 (청계로벤하임)
  • 중구 광희동1가 166 : 21호
  • 동작구 대방동 403-14 : 23호 (골든노블레스)
  • 마포구 서교동 494 : 10호 (서교동 효성해링턴타워)
  • 용산구 한강로2가 2-350 : 22호 (용산베르디움프렌즈)
  • 그 외 기타 : 우장산역해링턴타워, 힐데스하임(용답동), 인히어 쌍문, 리마크빌 군자, 더원역삼

 

강동구 성내동과 은평구 대조동의 호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서 이쪽으로 관심이 가장 몰릴 것으로 보인다.

 

역세권 청년주택 성내동 대조동
성내동과 대조동 타입별 공급 세대수 현황

 

 

임대기간

기본적으로 임대기간은 2년이다. 일반적인 전세계약도 2년이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으로 맞춘 듯하다. 다만 청년의 경우에는 최장 6년까지 연장할 수 있고 신혼부부는 10년까지 거주 가능하다. 10년이기는 하나 신혼부부의 경우 아이가 생기면 청년주택 면적이 좁아서 더 큰 곳을 찾아 10년 채우기 전에 이사하는 경우도 많다. 재계약을 할 때에 소득이 높아지면 보증금 또는 임대료가 인상될 수 있다. 재계약마다 체크되는 것으로 알려진다.

 

 

임대조건

  • 임대료 A (시세 30%) : 청년 1순위, 신혼부부(중위소득 50%이하, 기초수급자, 한부모, 차상위가구)
  • 임대료 B (시세 50%) : 청년 2순위, 청년 3순위, 신혼부부(중위소득 70% 이하, 배우자 소득 있을 시 90% 이하)
  • 임대료 C (시세 60%) : 신혼2유형
  • 임대료 D (시세 70%) : 신혼 2유형

 

역세권 청년주택 서울 공공임대

 

 

신청 자격

입주자 모집 공고일인 2023년 3월 31일 기준으로 따진다. 이때를 기준으로 만 19세 ~ 39세 이하가 대상이며 무주택이며 자동차가 없어야 한다. (임산부나 영유아용은 예외적으로 가능함) 또한 계층별로 소득과 총 자산 요건을 충족해야 자격이 주어진다.

 

신청 유형

  • 청년 : 만 19세부터 만39세 이하 (무직도 가능, 학생이든 아니든 모두 가능, 취준생(취업준비생) 가능)
  • 신혼부부 1 : 공고일 기준 혼인 7년이내이거나 혼인 예정인 가구, 만 6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혼인가구
  • 신혼부부 2 : 신혼 1유형 + 중위소득 100% (호반베르디움 스테이원만 이번에 가능함)

 

 

신청 일정

  • 공고일 : 2023년 3월 31일
  • 청약 접수 기간(신청일) : 2023년 4월 12일(수) 10:00 ~ 14일(금) 17:00
  • 서류심사 대상자 발표 : 4월 24일(월)
  • 서류제출 : 5월 8일 ~ 5월 10일
  • 최종 당첨자 발표 : 2023년 8월 9일(수)
  • 입주(신규) : 2023년 9월 8일부터
  • 입주(재공급) : 2023년 9월 6일부터

 

역세권 청년주택 서울 공공임대 신청일정

 

 

인터넷 청약 세부일정

청년과 신혼부부 계층을 대상으로 2023년 4월 12일 수요일에 청약이 시작된다. 시간에 맞춰 접속하여 이상 없이 신청에 성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접수 일정 : 4월 12일(수) 10:00 ~ 4월 14일(금) 17:00
  • 인터넷 청약 주소 : SH인터넷청약시스템 홈페이지(https://www.i-sh.co.kr/app/index.do)
  • 콜센터 전화번호 : 1600-3456 (서울주택도시공사 SH 고객센터)

 

 

입주자 선정 선정방법 (우선순위)

순위를 먼저 본다. 이후 가점사항 총점을 비교하여 따지고 그다음으로는 가점사항 우선순위를 본다. 마지막으로는 무작위 추첨이 기다리고 있다. 청약신청 시 신청 순위 구분 선택과는 별도로 가점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항목을 모두 입력해야 인정되니 이 부분을 유의해야 한다.

 

청년유형 가점사항

  • 1순위 : 생계 의료급여 수급자 3점
  • 1순위 : 보호대상 한부모 가족 3점
  • 2, 3순위 : 해당 순위 소득기준 50% 이하 : 3점
  • 신청자 부모가 무주택이면 2점
  • 서울 외 지역 출신 2점 (광역시 제외)
  • 본인 장애인 2점
  • 장애인 가구 1점

신혼부부 가점사항

  • 생계 의료급여 수급자 / 보호대상 한부모가족 3점
  •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 차상위계층 2점
  • 자녀 3명 3점, 2인 2점, 1인 1점
  • 서울시 거주자 2점
  • 신청인 장애인 등록 시 2점

 

 

역세권 청년주택 모집 공고문 다운로드 (서울시 SH공사)

공고문을 확인하면 자세한 내용이 담겨있으므로 해당 신청 전 꼭 공식 공고문을 읽어보고 청약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공공_230331_2023년 1차 역세권청년주택 모집공고문.pdf
0.56MB

 

 

 

 

 

청년도약계좌 대학생 군인 무직 알바 가입조건

금융위원회가 청년도약계좌 운영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가입조건과 신청기간, 희망적금 가입 여부, 예상 이율과 다양한 혜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2023년 3월 8일 발표되었으나

jadu22.tistory.com

 

서울안심소득 자격기준 지원금액 신청기간 (feat. 설문조사)

서울시에서 야심차게 서울안심소득이라는 정책 실험을 시범사업으로 진행한다. 조건에 맞는 시민들에게 기본소득과 같은 개념으로 일정 비율의 현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서울안심소득의 신

jadu22.tistory.com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

2월 9일부터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청년 희망적금 가입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청년 희망적금은 청년들의 자산 증식을 위해 정부에서 만든 제도로 대상이 된다면 일반 시중

jadu22.tistory.com

 

알뜰폰 무제한 요금제 추천 - 모빙 스마텔 아이즈 이야기 리브엠

알뜰폰 가입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업체 요금제 중에서 무제한 요금제 추천 할만한 상품을 정리해보았다. 무제한 데이터와 통화 사용은 대부분 비슷한데 할인 기간이 얼마인지가 비

jadu2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