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9일부터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청년 희망적금 가입이 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청년 희망적금은 청년들의 자산 증식을 위해 정부에서 만든 제도로 대상이 된다면 일반 시중 은행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적금을 들 수 있게 된다.
청년희망적금이란?
매월 최대 50만원까지의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는 적금 상품이다. 만기는 2년이고 적금은 2022년 2월 21일 출시된다. 일반 적금이랑 형태는 비슷한데 이자소득세를 안 떼고 만기까지 잘 납입하면 저축장려금을 조금 더 얹어준다. 비교해보면 금리 9%대의 일반 은행 적금과 비슷한 효과가 나기 때문에 적금치 고는 아주 훌륭한 상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
- 연령 기준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87년 2월 22일 이후 출생자)
- 병역 이행자는 최대 6년까지 나이를 더 봐준다. 군 복무 기간 만큼 연령 기준이 늘어나기 때문에 87년 2월 22일 이전 출생자라도 가능할 수 있다. (각자의 병역 기간을 고려해서 계산해봐야 함)
- 소득 기준 : 2021년 총 급여가 3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여야 함
- 2021년 소득 확정 전까지는 2020년 소득을 기준으로 함
- 직전 3년 중에 한번이라도 금융소득(이자, 배당소득)이 2000만원을 넘은 경우가 있으면 안 된다.
- 공무원은 대상이 안된다.
- 소득이 없거나 소득 증명이 안되면 가입이 불가하다. (대학생이라도 소득 증명 가능하면 가입할 수 있음)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청년희망적금은 2월 21일부터 11개 시중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하다. 대면, 비대면 둘 다 가능한데 병역이행으로 기간이 늘어서 가입하려는 사람은 은행 창구 가서 직접 확인을 시켜주고 가입해야 한다.
- 청년희망적금 가입 은행 11개 : 국민, 하나, 우리, 신한,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댓글